한반도 분단 - 위키백과

 

한반도 분단과 조선총독부

일본제국이 미국에 의해 두 개의 원자폭탄을 폭격당하고 소련이 8월 13일 청진 전투까지 벌이자 1945년 8월 15일, 무조건 항복을 선언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종결되었다.[3] 하지만 8월 15일에도 소련군 청진시에서 4천명의 일본군과 청진 전투를 계속 벌이자 미국 소련이 한반도 전체가 소련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38선 북쪽은 소련군이 주둔하고, 남쪽은 미군이 주둔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하여 소련 일본이 패망하자 돌아가지 않고 곧바로 원산을 거쳐 평양으로 향했다. 9월 6일 미군은 서울에 주둔하여 즉각 군정을 실시하였다.[4] (→한국의 군정기) 한편, 경성 중앙청에서는 조선총독부 소련군 경성을 점령하고 시베리아로 유배된다는 우려로 인해 여운형에게 총독부를 맡기게 했는데 이는 여운형에게 일본의 안전보장과 뒷일을 맡기게 한 것이다.[5] 하지만 여운형은 8월 16일에 오히려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세우고, 정치범들을 모두 석방했다. 그런데 8월 20일이 넘어도 소비에트 연방이 오지 않자, 조선총독부는 미국이 남한에 오기 전에 '조선인들이 일본을 괴롭히고 있고, 소련편을 든다'고 거짓정보를 알리자 이에 미국은 남한을 미워하면서 통제된 상태를 원하게 되었다.[6] 게다가 3년 군정을 다 한 후 미국 애치슨 선언을 실시했는데 이는 조선이 제외된 방위선이였지만 미국 한국 전쟁에서 국제 연합군으로 참여함으로써 적화통일을 면할 수 있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한국 전쟁 미국 남조선을 부추겨서 먼저 전쟁을 일으켰고 미국이 다른 국가를 강제로 참가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많은 한국인들을 괴롭혔다는 거짓 뉴스를 주장하기도 했다.[7]

자주적 독립운동의 실패

1944년 8월 여운형은 일본의 패망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직감하고 건국동맹을 결성하였다. 건국동맹은 일본이 패망하자 건국준비위원회를 결성하였고 미군이 주둔하기 전에 국가의 형태를 갖추고자 서둘러 1945년 9월 6일 조선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당시 선포된 조선인민공화국은 이승만을 주석으로 하고 부주석에 여운형, 국무총리에 중도 좌파인 허헌을 추대하였다. 그러나, 조선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측 요인이 참여하지 않은 점과 건국준비위원회 단계에서 대다수 우익 인사들이 참여를 철회한 점 등의 약점이 있었다.[4] 이러한 약점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민공화국은 남북을 통틀어 군·면 단위까지 인민위원회를 갖추고 한민족의 자주적 노력에 의한 독립 국가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1945년 11월이 되자 13개 면을 제외한 한반도 전 지역에 인민위원회가 수립되었으며 일본 경찰의 무기를 빼앗아 자체적인 치안을 확보하였다.[8]

조선인민공화국을 통해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실현하려한 노력은 미국과 소련의 이해 관계에 의해 실패하였다. 미군정은 조선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친미적인 우익인사를 중심으로 한 정권의 수립을 위해 한국민주당의 인사들과 긴밀하게 연락하였다.[4] 한편, 38선 이북에서 소련은 직접적인 군정을 실시하지는 않았으나 인민위원회를 공산주의적 조직으로 재편하고 친 소련 성향의 김일성을 지도자로서 부각시켰다.[8]

미·소 공위의 결렬

1945년 12월 16일, 미국, 영국, 소련은 전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모스크바에서 외무장관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 미국과 소련은 첨예한 대립을 보였으나 결국 의견을 조율하여 12월 27일 〈한국 문제에 관한 4개항의 결의서〉라는 이름의 합의문을 발표하였다. 이 합의문에서 세 나라는 한반도에 민주적인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미소공동위원회를 설치하고 미국, 소련, 영국, 중국이 최장 5년 기간 동안 신탁통치를 하기로 합의하였다.[9]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신탁통치 결정 소식이 알려지자 한반도는 찬탁과 반탁으로 갈려 극심한 이념 갈등을 빚게 되었다. 한편, 우익인 한민당의 입장을 대변했던 당시 동아일보는 "소련은 신탁통치 주장, 미국은 즉시 독립 주장, 소련의 구실은 38선 분할 점령"이라고 보도하여 사회적으로 반탁운동이 일어나는 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진보주의 역사관을 가진 이은은 본 교서의 뜻을 왜곡한 것이라고 한다.[10]

미소공동위원회는 결국 아무런 소득이 없이 결렬되었으며 한반도는 남북에 각기 다른 정부가 수립되는 형국을 맞게 되었다. 미소공동위원회가 성과 없이 해산되자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으로 이관하였고, 남북의 분단은 가속화 되었다. 1947년 11월 14일 유엔은 유엔 감시하의 남북총선거를 가결하였다. 그러나 남한에 비해 인구가 적은 북한이 불리하다고 판단한 소련은 결의안을 거부하였다.[11]

분단

남북 정부의 수립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에서 자신들의 영향력 증대를 먼저 고려한 것은 냉전의 시작이었다.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당시 여론은 좌우 합작을 통한 중도적인 통일정부의 수립이었다. 이북을 김일성이 장악하고 남측에서는 1946년 6월 3일 이승만이 단독정부 수립을 천명하자 중도 정치 세력들은 1946년 7월 좌우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은 한민당을 중심으로 한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이로 인해 좌우 합작은 결렬되었다.[12] 한편, 일본 관리들을 모조리 쫓아낸 소비에트 연방은 6개월 군정을 무사히 마친 후, 1946년 2월 16일에 북쪽에는 이미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설립되었으며 2년간 계속되었다.

1947년이 되자 미국과 소련의 냉전이 본격화되었고 유엔에서 남한만의 단독 선거가 의결되자 분단을 반대하던 민족주의 정치가들은 위기의식을 느꼈다. 한국독립당 김구와 민족자주연맹을 조직한 김규식 등은 남북의 모든 정치세력이 평양에 모여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를 열 것을 제안하였다. 김일성은 이 대회를 이북 정권의 정당성 확보의 장으로 이용하려 하였다. 이후 김구는 5·10 단독 선거에 불참하면서 통일 국가의 수립을 역설하였으나 뜻을 실현하지 못한 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다.[13]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정부 수립을 선포하여 일제에서 해방을 알렸으나 9월 9일에는 북한에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선포되어 한반도는 공식적인 분단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후 휴전선에서 국지전 발생하다가 6.25 발발함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중근사 관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 한반도 분단 - 위키백과 파아란 01-22 1,402
17 김정민박사 강의 - 국제관계: 가쓰라 테프트 밀약과 부역자들 파아란 03-14 1,708
16 美 네티즌이 만든 다큐멘터리 동영상 "이건 실화다! 임진왜란" 파아란 12-28 2,043
15 김정민박사 강의 - 국제관계: 국제정세 속의 한국 전체영상 파아란 10-13 2,011
14 [뉴스타운TV] '남북통일 전후 대한민국의 전략' 김정민 국제관계학 박사 파아란 10-13 1,869
13 조선족과 6.25 전쟁의 실체 파아란 10-13 1,434
12 김정민박사 – 한반도 주변 국제정세 변화와 우리의 선택 파아란 06-17 954
11 중국의 불순한 고대 역사 재편작업 파아란 06-04 1,101
10 '가야사 복원' 본격화..영호남 걸친 '제4의 제국' 실체 드러내나 파아란 06-04 878
9 국제관계: 중국의 “군사전략적 이민정책” 파아란 06-03 926
8 [백년전쟁 Part 1] 두 얼굴의 이승만- 권해효 나레이션(풀버전) 파아란 06-02 1,724
7 프레이저 보고서 - 박정희 파아란 06-02 944
6 6.25전쟁 (48min)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파아란 06-02 863
5 컬러영상,다큐멘터리 한국전쟁 The Korean War in Color,www.JTBC.biz 파아란 06-02 957
4 김정민박사 강의 – 국제관계: 한국의 미래와 전략 (요약편) 파아란 06-02 908
3 일본 천황의 혈통 고백 파아란 05-19 965
2 도올 김용옥 - 동아시아 30년 전쟁 파아란 05-19 937
1 김용옥, 조선(朝鮮)-이승만-박정희 그리고 박근혜 파아란 05-19 968